부채와 자본 (자본)
반응형
자본의 정의
자본이란 기업의 자산에서 채권자지분을 차감하고 남은 잔여지분, 즉 주주지분을 말한다.
자본 = 납입자본 + 이익잉여금 + 기타자본구성요소
= [주식발행자본금 + 주식발행초과금] +
[이익준비금 + 기타법정적립금 + 임의적립금 + 미처분이익잉여금] +
[자본조정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주식회사제도의 자본의 특징
- 소액으로 분할된 지분
- 주식의 자유양도
- 주주의 유한책임
자본금과 주식발행초과금
주식의 발행가액 중 액면가액 부분은 자본금 계정에, 그리고 나머지는 주식발행초과금 계정에서 처리
이익잉여금
- 이익잉여금은 경영활동 과정에서 획득한 순이익으로 구성된다.
- 이익잉여금은 크게 법정적립금, 임의적립금, 미처분이익잉여금으로 구분
※ 미처분이익잉여금 → 전기이월 미처분이익잉여금 + 당기순이익
이익잉여금의 처분절차
- 결산일
- 이사회 승인일
- 주주총회 승인일
- 배당지급일
이익잉여금의 처분항목
이익준비금
- 상법규정에 의한 이익준비금은 배당지출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현금배당액의 10% 적립)
임의적립금
- 사업확장을 위한 사업확장적립금
- 부채상환을 위한 감채적립금
- 매기 균등한 배당지급을 위한 배당평균적립금
- 만일의 결손을 대비한 결손보전적립금 등이 있다.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정의
자본변동표란, 자본의 크기와 그 변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재무보고서로서, 자본을 구성하고 있는 자본금, 기타자본구성요소, 이익잉여금(또는 결손금)의 변동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
자본변동표 구성요소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자본구성요소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이익잉여금(또는 결손금)
이에 해당하는 항목별로 기초잔액, 변당사항, 기말잔액을 표시
반응형
'창업 생각 공간 > 회계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익과 비용 (0) | 2021.10.22 |
---|---|
부채와 자본 (부채) (0) | 2021.10.16 |
유형자산과 무형자산 (0) | 2021.10.13 |
유가증권이란? (자산) 회계원리 (0) | 2021.10.13 |
현금과 수취채권 (자산) (0) | 2021.10.12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수익과 비용
수익과 비용
2021.10.22 -
부채와 자본 (부채)
부채와 자본 (부채)
2021.10.16 -
유형자산과 무형자산
유형자산과 무형자산
2021.10.13 -
유가증권이란? (자산) 회계원리
유가증권이란? (자산) 회계원리
2021.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