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인터뷰
[이코테] Chapter6-1 / 기준에 따라 데이터를 정렬
[이코테] Chapter6-1 / 기준에 따라 데이터를 정렬
2022.03.08정렬 알고리즘 개요 정렬(Sorting)이란 데이터를 특정한 기준에 따라서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을 말한다. 프로그램에서 데이터를 가공할 때 오름차순이나 내림차순 등 대부분 어떤 식으로든 정렬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에 정렬 알고리즘은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알고리즘 중 하나다. 정렬 알고리즘으로 데이터를 정렬하면 다음 장에서 배울 이진 탐색(Binary Search)이 가능해진다. 정렬 알고리즘은 이진 탐색의 전처리 과정이기도 하니 제대로 알고 넘어가자. 정렬 알고리즘은 이진 탐색의 전처리 과정이기도 하니 제대로 알고 넘어가자. 정렬 알고리즘은 굉장히 다양한데, 이 중에서 많이 사용하는 선택정렬, 삽입 정렬, 퀵 정렬, 계수 정렬만 이 책에서 언급하려 한다. 더불어 파이썬에서 제공하는 ..
[백준] 1978번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소수 판별 알고리즘 (소수 찾기)
[백준] 1978번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소수 판별 알고리즘 (소수 찾기)
2022.01.10일단 이 문제를 풀 때 처음엔,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이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방법으로 구현해보았다. case = int(input()) list = list(map(int, (input().split()))) prime_number = [] for i in range(case): count = 0 # 소수는 1과 자기자신으로만 나뉘는 수이다. 즉 count가 2이면 소수로 판별할 예정 for j in range(1, list[i]+1): rest = list[i]%j if rest == 0 : count = count + 1 else: pass if count == 2: prime_number.append(list[i]) print(len(prime_number)) 풀이는 완료하고 정답판정을 받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