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SSION
세션 기반 인증과 토큰 기반 인증(feat. Authentication 과 Authorization)
세션 기반 인증과 토큰 기반 인증(feat. Authentication 과 Authorization)
2023.06.16인증과 인가 세션기반 인가와 토큰기반 인가에 대해 알아보기 이전에 먼저, 인증과 인가가 무엇인지 부터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인증과 인가를 같거나 비슷한 개념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을텐데, 엄밀하게는 서로 다른 개념이다. 인증과 인가는 요약하자면 시스템의 자원을 적절하고 유효한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공개하는 방법이다. 인증(Authentication) 인증은 쉽게 말하자면, 로그인 이다. 클라이언트가 자기자신이라고 주장하고 있는 사용자가 맞는지를 검증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로그인 화면에서 내가 유저 아이디를 USER1 로 입력하고 패스워드를 입력해 제출하면, 서버에서는 내가 진짜로 USER1 이라는 유저가 맞는지 확인한다. 인가(Authorization) 인가는 인증 작업 이후에 행해지는 작업으로..
쿠키와 세션 (feat. HTTP의 Connectionless 와 Stateless)
쿠키와 세션 (feat. HTTP의 Connectionless 와 Stateless)
2023.06.16HTTP의 Connectionless와 Stateless HTTP는 요청과 응답을 한번 주고받으면 바로 연결을 끊어버리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다음 요청을 하기 위해 다시 연결을 맺어야 한다. 이를 HTTP의 Connectionless(비연결성) 라고 한다. 또한 HTTP 프로토콜은 요청과 응답을 교환하는 동안 상태(Status)를 저장하지 않는다. 따라서 HTTP 레벨에서는 이전에 보냈던 request나 response를 기억하지 못한다. 즉, HTTP 요청은 직전의 요청과 전혀 관련이 없다. 이를 HTTP의 Stateless(비상태성) 라고 한다. HTTP가 상태를 갖지 않음으로서 연결을 맺을 때 발생하는 오버헤드가 줄어들고, 데이터를 빠르고 확실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요청간의 상태를 공..
스프링 기본 - 웹 스코프
스프링 기본 - 웹 스코프
2022.06.13웹 스코프 지금까지 싱글톤과 프로토타입 스코프를 학습했다. 싱글톤은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끝까지 함께하는 매우 긴 스코프이고, 프로토타입은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 그리고 초기화까지만 진행하는 특별한 스코프이다. 이번에는 웹 스코프에 대해서 알아보자. 웹 스코프의 특징 웹 스코프는 웹 환경에서만 동작한다. 웹 스코프는 프로토타입과 다르게 스프링이 해당 스코프의 종료시점까지 관리한다. 따라서 종료 메서드가 호출된다. 웹 스코프 종류 request : HTTP 요청 하나가 들어오고 나갈 때 까지 유지되는 스코프, 각각의 HTTP 요청마다 별도의 빈 인스턴스가 생성되고, 관리된다. session : HTTP Session과 동일한 생명주기를 가지는 스코프 application: 서블릿 컨텍스트(Servlet..
스프링 기본 - 빈 스코프란?
스프링 기본 - 빈 스코프란?
2022.06.08빈 스코프란? 지금까지 우리는 스프링 빈이 스프링컨테이너의 시작과 함께 생성되어서 스프링 컨테이너가 종료될 때 까지 유지된다고 학습했다. 이것은 스프링 빈이 기본적으로 싱글톤 스코프로 생성되기 때문이다. 스코프는 번역 그대로 빈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를 뜻한다. 스프링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스코프를 지원한다. 싱글톤 : 기본 스코프,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유지되는 가장 넓은 범위의 스코프이다. 프로토타입 : 스프링 컨테이너가 프로토타입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까지만 관여하고 더는 관리하지 않는 매우 짧은 범위의 스코프이다. 웹 관련 스코프 request : 웹 요청이 들어오고 나갈때 까지 유지되는 스코프이다. session : 웹 세션이 생성되고 종료될 때 까지 유지되는 스코프이다. a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