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
스프링 MVC 2 - 변수 - SpringEL
스프링 MVC 2 - 변수 - SpringEL
2022.08.04변수 - SpringEL 타임리프에서 변수를 사용할 때는 변수 표현식을 사용한다. 변수 표현식 : ${...} 그리고 이 변수 표현식에는 스프링 EL이라는 스프링이 제공하는 표현식을 사용할 수 있다. BasicController 추가 /resources/templates/basic/variable.html SpringEL 다양한 표현식 사용 Object user.username : user의 username을 프로퍼티 접근 → user.getUsername() user['username']: 위와 같음 → user.getUsername() user.getUsername(): user의 getUsername()을 직접 호출 List users[0].username: List에서 첫 번째 회원을 찾고 use..
상수와 리터럴
상수와 리터럴
2022.03.09상수, 리터럴 변수(variable) -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 (값의 변경이 가능) 상수(constant) - 한 번만 값을 저장 가능한 변수 (값의 변경이 불가능) 리터럴(literal) - 그 자체로 값을 의미하는 것 (기존에 알고있던 상수와 같은 개념) 그렇다면 기존에 우리가 알고있는 "상수"라는 익숙한 용어 대신에 굳이 "리터럴"이라는 낮선 용어를 사용하는 것일까? 그 이유는, 자바에서 상수를 "한번만 값을 저장 할 수 있는 변수"로 정의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을 인텔리제이에서 테스트해보자. 100으로 선언한 score변수에 200을 대입해서 출력을 하면 아래와 같이 출력된다. 이번에는 score변수를 상수로 만들고 다시 200으로 바꾸어 대입해서 출력하면 어떻게 될까? ..
변수란? 변수의 선언과 저장
변수란? 변수의 선언과 저장
2022.03.091. 변수 (variable)란?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실제 메모리(ram)의 모습이다. 전체 메모리의 저장공간을 1byte로 나누고 각각의 저장공간에 0부터 1, 2, 3 ... 와 같이 연속적인 번호를 붙여서주는데, 이것을 메모리 주소라고 한다. 원래는 메모리에 값을 저장하거나 할때, 메모리 주소를 이용해야 하는데, 메모리 주소는 숫자라서 사람이 기억하기 힘들고 불편하다. 그래서 특정 메모리 영역에 이름을 붙혀서 주소대신 이름을 이용해서 메모리에 값을 저장하고 읽을 수 있게 한 것이 바로 "변수"이다 램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습을 그림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변수는 단 하나의 값만 저장 할 수 있기 때문에 변수에 새로운 값을 저장하면,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값을 지워지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