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터럴
스프링 MVC 2 - 리터럴
스프링 MVC 2 - 리터럴
2022.08.04리터럴 Literals 리터럴은 소스 코드상에 고정된 값을 말하는 용어이다. 예를 들어서 다음 코드에서 "Hello"는 문자 리터럴, 10, 20는 숫자 리터럴이다. String a = "Hello" int a = 10 * 20 참고 이 내용이 쉬워 보이지만 처음 타임리프를 사용하면 많이 실수하니 잘 봐두자. 타임리프는 다음과 같은 리터럴이 있다. 문자: 'hello' 숫자: 10 불린: true, false null, null 타임리프에서 문자 리터럴은 항상 '(작은 따옴표)로 감싸야 한다. 그런데 문자를 항상 '로 감싸는 것은 너무 귀찮은 일이다. 공백 없이 쭉 이어진다면 하나의 의미있는 토큰으로 인지해서 다음과 같이 작은 따옴표를 생략할 수 있다. 룰: A-Z, a-z, 0-9, [], ., -, ..
상수와 리터럴
상수와 리터럴
2022.03.09상수, 리터럴 변수(variable) -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 (값의 변경이 가능) 상수(constant) - 한 번만 값을 저장 가능한 변수 (값의 변경이 불가능) 리터럴(literal) - 그 자체로 값을 의미하는 것 (기존에 알고있던 상수와 같은 개념) 그렇다면 기존에 우리가 알고있는 "상수"라는 익숙한 용어 대신에 굳이 "리터럴"이라는 낮선 용어를 사용하는 것일까? 그 이유는, 자바에서 상수를 "한번만 값을 저장 할 수 있는 변수"로 정의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을 인텔리제이에서 테스트해보자. 100으로 선언한 score변수에 200을 대입해서 출력을 하면 아래와 같이 출력된다. 이번에는 score변수를 상수로 만들고 다시 200으로 바꾸어 대입해서 출력하면 어떻게 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