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2252번 줄 세우기(feat. 위상 정렬)
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2252
문제 분석
- 첫 번째 단계(문제 요약 및 조건 파악)
N명의 학생들을 키 순서대로 줄을 세우려고 함.
두 학생의 키를 비교한 데이터가 있을 때,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줄을 세워야 한다.
-입력
첫째 줄에 N(1 <= N <= 32,000),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이때 M은 키를 비교한 횟수이다.
다음 M개의 줄에 키를 비교한 두 학생의 번호 A, B가 주어진다. 이는 학생 A가 학생 B의 앞에 서야 한다는 의미.
학생들의 번호는 1번부터 N번임.
-출력
첫째 줄에 학생들을 앞에서부터 줄을 세운 결과 출력.
답이 여러가지인 경우에는 아무거나 출력 할 것.
- 두 번째 단계(문제 핵심 파악)
위상 정렬을 이용하여 풀이하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위상정렬의 경우 한 단계에서 큐에 여러개의 원소가 들어가면 답안이 여러개일 수 있음.
코드 작성
'''
N명의 학생들을 키 순서대로 줄을 세우려고 함.
두 학생의 키를 비교한 데이터가 있을 때,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줄을 세워야 한다.
-입력
첫째 줄에 N(1 <= N <= 32,000),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이때 M은 키를 비교한 횟수이다.
다음 M개의 줄에 키를 비교한 두 학생의 번호 A, B가 주어진다. 이는 학생 A가 학생 B의 앞에 서야 한다는 의미.
학생들의 번호는 1번부터 N번임.
-출력
첫째 줄에 학생들을 앞에서부터 줄을 세운 결과 출력.
답이 여러가지인 경우에는 아무거나 출력 할 것.
i)
위상 정렬을 이용하여 풀이하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위상정렬의 경우 한 단계에서 큐에 여러개의 원소가 들어가면 답안이 여러개일 수 있음.
'''
# n은 학생들의 끝번호, m은 키를 비교한 횟수.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m = map(int, input().split())
# 모든 노드에 대한 진입차수는 0으로 초기화
indegree = [0 for i in range(n + 1)]
# 각 노드에 연결된 정보를 담기 위한 그래프
graph = [[] for i in range(n + 1)]
for i in range(m):
a, b = map(int, sys.stdin.readline().rstrip().split())
# a 학생이 b학생 앞에 서야한다는 의미
graph[a].append(b)
indegree[b] = indegree[b] + 1
# 위상 정렬 함수
def topology_sort():
result = [] # 알고리즘 수행 결과를 담을 리스트
q = deque() # 큐 기능을 위한 deque 라이브러리 사용
# 처음 시작할 때는 진입차수가 0인 노드를 큐에 삽입
for i in range(1, n + 1):
if indegree[i] == 0:
q.append(i)
# 큐가 빌 때까지 반복
while q:
now = q.popleft()
result.append(now)
# 해당 원소와 연결된 노드들의 진입차수에서 1빼기
for j in graph[now]:
indegree[j] = indegree[j] - 1
# 새롭게 진입차수가 0이 되는 노드를 큐에 삽입
if indegree[j] == 0:
q.append(j)
# 위상 정렬을 수행한 결과 출력
for i in result:
print(i, end = ' ')
topology_sort()
※ 문제에서 제시된 데이터가 방향성이 있으며 사이클이 없는 데이터라는 것을 파악하고, 위상정렬을 떠올리는 것이 이 문제의 핵심.
반응형
'Problem Solv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623번 음악프로그램(feat. 위상 정렬) (0) | 2023.03.29 |
---|---|
[백준] 1766번 문제집(feat. 위상 정렬, heapq) (0) | 2023.03.28 |
[백준] 1197번 최소 스패닝 트리(feat. 최소 신장 트리, 크루스칼 알고리즘) (0) | 2023.03.27 |
[백준] 4195번 친구 네트워크(feat. 유니온 파인드, 문자열 입력, 딕셔너리) (0) | 2023.03.27 |
[백준] 1976번 여행 가자(feat. 유니온 파인드) (0) | 2023.03.26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백준] 2623번 음악프로그램(feat. 위상 정렬)
[백준] 2623번 음악프로그램(feat. 위상 정렬)
2023.03.29 -
[백준] 1766번 문제집(feat. 위상 정렬, heapq)
[백준] 1766번 문제집(feat. 위상 정렬, heapq)
2023.03.28 -
[백준] 1197번 최소 스패닝 트리(feat. 최소 신장 트리, 크루스칼 알고리즘)
[백준] 1197번 최소 스패닝 트리(feat. 최소 신장 트리, 크루스칼 알고리즘)
2023.03.27 -
[백준] 4195번 친구 네트워크(feat. 유니온 파인드, 문자열 입력, 딕셔너리)
[백준] 4195번 친구 네트워크(feat. 유니온 파인드, 문자열 입력, 딕셔너리)
2023.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