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회원 도메인 설계

  • 회원을 가입하고 조회할 수 있다.
  • 회원은 일반과 VIP 두 가지 등급이 있다.
  • 회원 데이터는 자체 DB를 구축할 수 있고, 외부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다. (미확정)

 

회원 도메인 협력 관계

 회원 저장소 인터페이스를 만들고, DB를 갈아끼울 수 있도록 설계한다.

 

회원 클래스 다이어그램

실제 구현 레벨로 내려오면, '회원 클래스 다이어그램' 이 그림과 같이 그려진다.

MemberService를 인터페이스로 만들고, 그것에 대한 구현체로 MemberServiceImpl을 만든다.

MemberServiceImpl가  MemberService 인터페이스와 연결되고, MemberRespository인터페이스의 구현클래스로 MemoryMemberRepository, DbMemberRepository 를 만들 것이다. 이런식으로 간략하게 그렸다.

 

 

회원 객체 다이어그램

'회원 객체 다이어그램'은 뭐냐면,
실제 서버에 올라오면, 객체간에 메모리의 참조가 어떻게 되는지를 그린 것이다.

클라이언트는 회원서비스를 바라보고, 회원 서비스(impl)은 메모리 회원 저장소(처음에는)를 바라보게 된다.

 

 

도메인 협력 관계도는 기획자들도 볼 수 있는 그림이다.

도메인 협력 관계도를 바탕으로 개발자가 구체화해서 클래스 다이어그램을 만든다. (정적인 것)
클래스 다이어그램은, 실제 서버를 실행하지 않고, 클래스만 분석해서 볼 수 있는 그림이다.

그런데, 구현체들을 뭘 넣을지는 동적으로 결정되는 것들이다.
무슨 말이냐면, 서버가 뜰 때, new해서 뭘 넣을꺼야.. 라는 방식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클래스 다이어그램만으로 판단하기 어렵다. 그래서 객체 다이어그램이라는 것이 따로 있는 것이다.
서버가 실제로 떠서, 클라이언트가 실제 사용하는 인스턴스들끼리의 참조를 보여준다. (동적인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