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리스트 자료형에 대해서 알아보자!
반응형
오늘은 리스트 자료형에 대해서 리뷰 해보도록 하겠다.
# 리스트는 어떻게 만들고 사용할까?
# 리스트를 사용하면 1, 3, 5, 7, 9 숫자 모음을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
odd = [1 , 3, 5, 7 ,9]
# 리스트를 만들 때는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대괄호([ ])로 감싸 주고 각 요솟값은 쉼표(,)로 구분해 준다.
# 리스트명 = [요소1, 요소2, 요소3, ...]
# 여러 가지 리스트의 생김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 = []
b = [1, 2, 3]
c = ['Life', 'is', 'too', 'short']
d = [1, 2, 'Life', 'is']
e = [1, 2, ['Life', 'is']]
# 리스트는 a처럼 아무것도 포함하지 않아 비어 있는 리스트([])일 수도 있고 b처럼 숫자를 요솟값으로 가질 수도 있고 c처럼 문자열을 요솟값으로 가질 수도 있다.
# 또한 d처럼 숫자와 문자열을 함께 요솟값으로 가질 수도 있으며 e처럼 리스트 자체를 요솟값으로 가질 수도 있다. 즉 리스트 안에는 어떠한 자료형도 포함시킬 수 있다.
# ※비어 있는 리스트는 a = list()로 생성할 수도 있다.
# 리스트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 리스트도 문자열처럼 인덱싱과 슬라이싱이 가능하다. 백문이 불여일견, 말로 설명하는 것보다 직접 예를 실행해 보면서 리스트의 기본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쉽다.
# 리스트의 인덱싱
# 리스트 역시 문자열처럼 인덱싱을 적용할 수 있다. 먼저 a 변수에 [1, 2, 3]값을 설정한다.
a = [1, 2, 3]
print(a)
# a[0]은 리스트 a의 첫 번째 요솟값을 말한다.
print(a[0])
# 다음 예는 리스트의 첫 번째 요소인 a[0]과 세 번째 요소인 a[2]의 값을 더한 것이다.
print(a[0] + a[2])
# 이것은 1 + 3으로 해석되어 값 4를 출력한다.
# 문자열을 공부할 때 이미 살펴보았지만 파이썬은 숫자를 0부터 세기 때문에 a[1]이 리스트 a의 첫 번쨰 요소가 아니라 a[0]이 리스트 a의 첫 번째 요소임을 명심하자.
# a[-1]은 문자열에서와 마찬가지로 리스트 a의 마지막 요솟값을 말한다.
print(a[-1])
# 이번에는 다음 예처럼 리스트 a를 숫자 1, 2, 3과 또 다른 리스트인 ['a', 'b', 'c']를 포함하도록 만들어 보자.
a = [1, 2, 3, ['a', 'b', 'c']]
# 다음 예를 따라 해 보자.
print(a[0])
print(a[-1])
print(a[3])
# 예상한 대로 a[-1]은 마지막 요솟값 ['a', 'b', 'c']를 나타낸다. a[3]은 리스트 a의 네 번째 요소를 나타내기 때문에 마지막 요소를 나타내는 a[-1]과 동일한 결과값을 보여 준다.
# 그렇다면 여기에서 리스트 a에 포함된 ['a', 'b', 'c']리스트에서 'a' 값을 인덱싱을 사용해 끄집어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다음 예를 보자.
print(a[-1][0])
# 위와 같이 하면 'a를 끄집어낼 수 있다. a[-1]이 ['a', 'b', 'c']리스트라는 것은 이미 말했다. 바로 이 리스트에서 첫 번째 요소를 불러오기 위해 [0]을 붙여 준 것이다.
# 다음 예도 마찬가지 경우이므로 어렵지 않게 이해될 것이다.
print(a[-1][1])
print(a[-1][2])
# [삼중 리스트에서 인덱싱하기]
a = [1, 2, ['a', 'b', ['Life', 'is']]]
# 리스트 a 안에 ['a', 'b', ['Life', 'is']]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고, 그 리스트 안에 다시 ['Life', 'is']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다. 삼중 구조의 리스트 이다.
# 이 경우 'Life' 문자열만 끄집어내려면 다음과 같이 해야한다.
print(a[2][2][0])
# 위 예는 리스트a의 세 번째 요소인 리스트 ['a', 'b', ['Life', 'is']]에서 세 번째 요소인 리스트 ['Life', 'is']의 첫 번째 요소를 나타낸다.
# 리스트의 슬라이싱
# 문자열과 마찬가지로 포스트에서도 슬라이싱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슬라이싱은 '나눈다'는 뜻이라고 했다.
a = [1, 2, 3, 4, 5]
print(a[0:2])
# 앞의 예를 문자열에서 슬라이싱 했던 것과 비교해 보자.
a = "12345"
print(a[0:2])
# 2가지가 완전히 동일하게 사용되었음을 눈치챘을 것이다. 문자열에서 했던 것과 사용법이 완전히 동일하다.
# 몇 가지 예를 더 들어 보자.
a = [1, 2, 3, 4, 5,]
b = a[:2]
c = a[2:]
print(b)
print(c)
# b 변수는 리스트 a의 첫 번째 요소부터 두 번째 요소인 a[1]까지 나타내는 리스트이다. 물론 a[2]값인 3은 포함되지 않는다.
# c라는 변수는 리스트 a의 세 번째 요소부터 끝까지 나타내는 리스트이다.
# [중첩된 리스트에서 슬라이싱하기]
# 리스트가 포함된 중첩 리스트 역시 슬라이싱 방법은 똑같이 적용된다.
a = [1, 2, 3, ['a', 'b', 'c'], 4, 5]
print(a[2:5])
print(a[3][:2])
# 위 예에서 a[3]은 ['a', 'b', 'c']를 나타낸다. 따라서 a[3][:2]는 ['a', 'b', 'c']의 첫 번째 요소부터 세 번째 요소 직전 까지의 값, 즉['a', 'b']를 나타내는 리스트가 된다.
# 리스트 연산하기
# 리스트 역시 + 기호를 사용해서 더할 수 있고 * 기호를 사용해서 반복할 수 있다. 문자열과 마찬가지로 리스트에서도 되는지 직접 확인해 보자.
# 리스트 더하기(+)
a = [1, 2, 3]
b = [4, 5, 6]
print(a + b)
# 리스트 사이에서 + 기호는 2개의 리스트를 합치는 기능을 한다.
# 문자열에서 "abc" + "def" = "abcdef"가 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 리스트 반복하기(*)
a = [1, 2, 3]
print(a*3)
# 위에서 볼 수 있듯이 [1, 2, 3]리스트가 세 번 반복되어 새로운 리스트를 만들어낸다. 문자열에서 "abc"*3 = "abcabcabc" 가 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 리스트 길이구하기
# 리스트 길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처럼 len 함수를 사용해야 한다.
a = [1, 2, 3]
print(len(a))
# len 함수는 문자열, 리스트 외에 앞으로 배울 튜플과 딕셔너리에도 사용할 수 있는 함수이다. 실습에서 자주 사용하니 잘 기억해 두자.
# [초보자가 범하기 쉬운 리스트 연산 오류]
# 다음 소스 코드를 입력했을 때 결괏값은 어떻게 나올까?
# a = [1, 2, 3]
# print(a[2] + "hi")
# a[2]의 값인 3과 문자열 hi 더해져서 3hi가 출력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 하지만 다음 결과를 보면 형 오류(TypeError)가 발생했다. 오류의 원인은 무엇일까?
# a[2]에 저장된 값은 3이라는 정수인데 "hi"는 문자열이다. 정수와 문자열은 당연히 서로 더할 수 없기 때문에 형 오류가 발생한 것이다.
# 만약 숫자와 문자열을 더해서 '3hi'처럼 만들고 싶다면 숫자 3을 문자 '3'으로 바꾸어 주어야 한다.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따.
print(str(a[2]) + "hi")
# str 함수는 정수나 실수를 문자열의 형태로 바꾸어 주는 파이썬의 내장 함수이다.
# 리스트의 수정과 삭제
# 리스트는 값을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 리스트에서 값 수정하기
a = [1, 2, 3]
a[2] = 4
print(a)
# a[2]의 요솟값 3이 4로 바뀌었다.
# del 함수 사용해 리스트 요소 삭제하기
a = [1, 2, 3]
del a[1]
print(a)
# dek a[x]는 x번쨰 요솟값을 삭제한다. 여기에서는 a리스트에서 a[1]을 삭제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del 함수는 파이썬이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삭제 함수이며, 다음과 같이 이용한다
# del 객체
# ※객체란 파이썬에서 사용되는 모든 자료형을 말한다.
# 다음처럼 슬라이싱 기법을 사용하여 리스트의 요소 여러 개를 한꺼번에 삭제할 수도 있다.
a = [1, 2, 3, 4, 5]
del a[2:]
print(a)
# a[2:]에 해당하는 리스트의 요소들이 삭제되었다.
# 리스트의 요소를 삭제하는 방법에는 2가지가 더 있다. 그것은 리스트의 remove와 pop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인데, 이것에 대해서는 바로 이어지는 리스트 관련 함수에서 설명한# 다.
# 리스트 관련 함수들
# 문자열과 마찬가지로 리스트 변수 이름 뒤에 '.'를 붙여서 여러 가지 리스트 관련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유용하게 사용되는 리스트 관련 함수 몇 가지에 대해서만 알아보기로 하자.
# 리스트에 요소 추가(append)
# append를 사전에서 검색해 보면 "덧붙이다, 첨부하다"라는 뜻이 있다. 이 뜻을 안다면 다음 예가 바로 이해될 것이다. append(x)는 리스트의 맨 마지막에 x를 추가하는 함수이다.
a = [1, 2, 3]
a.append(4)
print(a)
# 리스트 안에는 어떤 자료형도 추가할 수 있다.
# 다음 예는 리스트에 다시 리스트를 추가한 결과이다.
a.append([5, 6])
print(a)
# 리스트 정렬(sort)
# sort 함수는 리스트의 요소를 순서대로 정렬해 준다.
a = [1, 4, 3, 2]
a.sort()
print(a)
# 문자 역시 알파벳 순서로 정렬할 수 있다.
a = ['a', 'c', 'b']
a.sort()
print(a)
# 리스트 뒤집기(reverse)
# reverse 함수는 리스트를 역순으로 뒤집어 준다. 이때 리스트 요소들을 순서대로 정렬한 다음 다시 역순으로 정렬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현재의 리스트르르 그대로 거꾸로 뒤집는다.
a = ['a', 'c', 'b']
a.reverse()
print(a)
# 위치 반환(index)
# index(x) 함수는 리스트에 x값이 있으면 x의 위치 값을 돌려준다.
a = [1, 2, 3]
print(a.index(3))
print(a.index(1))
# 위 예에서 리스트 a에 있는 숫자 3의 위치는 a[2]이므로 2를 돌려주고, 숫자 1의 위치는 a[0]이므로 0을 돌려준다.
# 다음 예에서 값 0은 a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값 오류(valueError)가 발생한다.
# print(a.index(0))
# 리스트에 요소 삽입(insert)
# insert(a, b)는 리스트의 a번째 위치에 b를 삽입하는 함수이다. 파이썬에서는 숫자를 0부터 센다는 것을 반드시 기억하자.
a = [1, 2, 3]
a. insert(0, 4)
print(a)
# 위 예는 0번째 자리, 즉 첫 번째 요소(a[0]) 위치에 값 4를 삽입하라는 뜻이다.
a.insert(3, 5)
print(a)
# 위 예는 리스트 a의 a[3], 즉 네 번째 요소 위치에 값 5를 삽입하라는 뜻이다.
# 리스트 요소 제거(remove)
# remove(x)는 리스트에서 첫 번째로 나오는 x를 삭제하는 함수이다.
a = [1, 2, 3, 1, 2, 3]
a.remove(3)
print(a)
# a가 3이라는 값을 2개 가지고 있을 경우 첫 번째 3만 제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a.remove(3)
print(a)
# remove(3)을 한 번 더 실행하면 다시 3이 삭제된다.
# 리스트 요소 끄집어내기(pop)
# pop()은 리스트의 맨 마지막 요소를 돌려주고 그 요소는 삭제한다.
a = [1, 2, 3]
print(a.pop())
print(a)
# 리스트 [1, 2, 3]에서 3을 끄집어내고 최종적으로 [1, 2]만 남는 것을 볼 수 있다.
# pop(x)는 리스트의 x번째 요소를 돌려주고 그 요소는 삭제한다.
a = [1, 2, 3]
print(a.pop(1))
print(a)
# a.pop(1)은 a[1]의 값을 끄집어낸다. 다시 a를 출력해 보면 끄집어낸 값이 삭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리스트에 포함된 요소 x의 개수 세기(count)
# count(x)는 리스트 안에 x가 몇 개 있는지 조사하여 그 개수를 돌려주는 함수이다.
a = [1, 2, 3, 1]
print(a.count(1))
# 1이라는 값이 리스트 a에 2개 들어 있으므로 2를 돌려준다.
# 리스트 확장(extend)
# extend(x)에서 x에는 리스트만 올 수 있으며 원래의 a 리스트에 x리스트를 더하게 된다.
a = [1, 2, 3]
a.extend([4, 5])
print(a)
b = [6, 7]
a.extend(b)
print(a)
# a.extend([4, 5])는 a + [4, 5]와 동일하다.
리스트 자료형의 핵심
- 리스트 생성 및 사용
- 리스트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 리스트 연산하기
- 리스트의 수정과 삭제
- 리스트 관련 함수 (append, sort, reverse, index, insert, remove, pop, count, extend)
리뷰하며 정리한 코드를 공유한다!
https://github.com/mgkim-developer/Python-Basic-Grammar/blob/main/(2-3)List%20datatype.py
반응형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딕셔너리 자료형이 뭐야? (0) | 2021.07.30 |
---|---|
파이썬 튜플 자료형에 대해서 알아볼까? (0) | 2021.07.28 |
파이썬 문자열 자료형이 뭐야? (0) | 2021.07.26 |
파이썬 숫자형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1.07.25 |
윈도우에서 파이썬을 설치해보자! (0) | 2021.07.22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파이썬 딕셔너리 자료형이 뭐야?
파이썬 딕셔너리 자료형이 뭐야?
2021.07.30 -
파이썬 튜플 자료형에 대해서 알아볼까?
파이썬 튜플 자료형에 대해서 알아볼까?
2021.07.28 -
파이썬 문자열 자료형이 뭐야?
파이썬 문자열 자료형이 뭐야?
2021.07.26 -
파이썬 숫자형에 대해서 알아보자!
파이썬 숫자형에 대해서 알아보자!
2021.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