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변수 (variable)란?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실제 메모리(ram)의 모습이다. 

전체 메모리의 저장공간을 1byte로 나누고 각각의 저장공간에 0부터 1, 2, 3 ... 와 같이 연속적인 번호를 붙여서주는데, 이것을 메모리 주소라고 한다. 원래는 메모리에 값을 저장하거나 할때, 메모리 주소를 이용해야 하는데, 메모리 주소는 숫자라서 사람이 기억하기 힘들고 불편하다. 

그래서 특정 메모리 영역에 이름을 붙혀서 주소대신 이름을 이용해서 메모리에 값을 저장하고 읽을 수 있게 한 것이 바로 "변수"이다
램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습을 그림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변수는 단 하나의 값만 저장 할 수 있기 때문에 변수에 새로운 값을 저장하면,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값을 지워지고 새로 저장한 값만 남게 된다. 

 

 

2. 변수의 선언

  • 1. 변수의 선언 이유
    • 값(data)을 저장할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서
  • 2. 변수의 선언 방법
변수타입 변수이름;

예를 들어 나이를 저장하기 위해서 age라는 이름의 변수를 선언하려면 아래와 같다.

int age;

그리고 이 문장이 실행되면 

이렇게 age 라는 이름의 저장공간이 마련된다.

 

 

3. 변수에 값 저장하기

  • 1. 변수에 값 저장하기 ('=' 는 등호가 아니라 대입)
int age; 		// 정수(int)타입의 변수 age를 선언
age = 25;		// 변수 age에 25를 저장
int age = 25;		// 위의 두 줄을 한 줄로

  • 2. 변수의 초기화 - 변수에 처음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
int x = 0;		// 변수 x를 선언 후, 0으로 초기화
int y = 5;		// 변수 y를 선언 후, 5로 초기화
// 두 변수의 자료형이 같다면 아래와 같이 한줄로 합칠 수 있음
int x = 0, y = 5;		// 위의 두 줄을 한 줄로

메모리는 여러 프로그램이 함께 공유하는 자원이기 때문에 사용하기 전에 새로운 값을 저장함으로서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알 수 없는 값을 지우는 것이 "초기화"이다. 

변수의 종류

  • 클래스 변수
  • 인스턴스 변수
  • 지역변수

[주의]  이중 "지역변수"는 0으로 자동 초기화되지 않기 떄문에 값을 읽기전에 꼭 초기화 해줘야 한다.

만약 초기화를 해주지 않으면, 컴파일 할 때 에러가 발생한다.

 

 

4. 변수의 값 읽어오기

  • 1. 변수의 값이 필요한 곳에 변수의 이름을 적는다.
int year = 0, age = 14;
year = age + 2000;
/// year = 14 + 2000;
/// year = 2014;

// 변수의 값을 1증가시키는 방법
age = age + 1;
// age = 14 + 1;
// age = 15;

// 변수에 저장된 값을 화면에 출력하기
System.out.println(age);

// 15가 화면에 출력됨
// System.out.println(15);

이처럼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대입연산은 제일 마지막에 수행된다.

 

인텔리제이로 변수를 생성해서 사칙연산을 해보자.

결과는 아래와 같다.

반응형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수와 리터럴  (0) 2022.03.09
변수의 타입  (0) 2022.03.09
화면에 글자 출력하기, 덧셈 뺄셈 계산하기  (0) 2022.03.09
첫 번째 Java프로그램 만들기(메모장 이용)  (0) 2022.03.08
자바 API문서 설치와 사용법  (0) 2022.03.08